조직설계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#2 리빗 다이아몬드 모델(Leavitt’s diamond model) 본 글에서 소개할 모델은 내들러-투시먼 적합 모델과 비슷한 시기와 맥락에서 탄생했습니다. 아래 글의 첫 문단에 해당 시기의 조직 관점 전환이 요약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2022.08.02 - [조직/조직구조] - #1 내들러-투시먼 적합 모델(Nadler and Tushman’s congruence model) #1 내들러-투시먼 적합 모델(Nadler and Tushman’s congruence model) 20세기 중반부터, 조직을 보는 기본적인 관점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. 전통적인 정적 모델은 복잡한 조직의 내부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의 일부만을 설명할 수 있었고, 이러한 org-meta.tistory.com 기존 정적 모델의 한계를 극복한 조직 모델을 구상하려는 .. #1 내들러-투시먼 적합 모델(Nadler and Tushman’s congruence model) 20세기 중반부터, 조직을 보는 기본적인 관점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. 전통적인 정적 모델은 복잡한 조직의 내부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의 일부만을 설명할 수 있었고,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대체할 새로운 시각이 등장합니다. 조직을 보는 이 새로운 경향은 조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기 시작합니다. 여기서의 시스템은 개방 시스템으로, 이는 그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. 특히 이 시스템은 외부 자원을 투입(input)하고 이를 산출(output)의 형태로 변형(transform)시킵니다. 전통적 조직 이론과 비교할 때, 개방 시스템 이론은 조직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고려하는 데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합니다. 그러나 이 이론은 그 추상성 때문에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는.. 이전 1 다음